주짓수에서 브라보 초크(Brabo Choke)는 강력한 초크 기술 중 하나로, 상대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효과적인 서브미션을 이끌어낼 수 있는 기술이다. 홀란도 샘슨(Rolando Samson)의 브라보 초크 강의는 이 기술의 세부적인 디테일과 효과적인 피니시 방법을 설명해준다. 이번 기사에서는 그의 강의를 통해 브라보 초크의 핵심 요소를 정리해본다.
브라보 초크의 기본 원리 – 라펠 컨트롤
브라보 초크의 핵심은 라펠(lapel, 도복 깃)을 사용하는 것이다. 먼저 상대의 몸을 옆으로 돌린 후, 같은 쪽 혹은 반대쪽 라펠을 꺼내어 겨드랑이 아래로 통과시켜 고정한다. 이는 상대의 머리를 제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, 어깨로 압박을 가해 공간을 줄이는 방식으로 초크를 완성한다.
홀란도는 초크를 세팅할 때 라펠을 느슨하게 두지 말고 팽팽하게 당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. 느슨한 그립은 상대의 반격을 허용할 수 있지만, 팽팽한 로프 같은 그립은 상대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초크의 강도를 극대화한다.
니온밸리(Nee-on-Belly)로 포지션 확보
브라보 초크를 성공적으로 세팅하기 위해 니온밸리(Nee-on-Belly) 포지션을 자주 사용한다. 이 포지션은 상대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도 초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.
- 상대의 엉덩이를 눌러 옆으로 돌린 후, 무릎을 상대의 몸 중앙(명치 아래)으로 이동시킨다.
- 상대가 반응하며 밀어낼 때, 이를 이용해 발을 상대의 다리 안쪽에 고정(스테이플링) 시켜 움직임을 더 제한한다.
- 라펠을 이용해 상대의 목을 조이면서 피니시 단계로 전환한다.
피니시 단계 – 볼 오브 수프(Bowl of Soup) 그립
브라보 초크의 피니시 단계에서 홀란도는 볼 오브 수프(Bowl of Soup) 그립을 활용한다. 이 기술은 손바닥을 위로 올린 상태에서 상대의 목을 감싸는 방식으로, 손목의 각도와 손가락의 위치가 초크의 완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.
- 손목과 손가락의 정렬이 상대의 경동맥을 정확히 압박할 수 있도록 조정해야 한다.
- 초크가 깊이 들어가지 않으면 약간 느슨하게 조정하여 압박의 중심을 이동시키는 것도 방법이다.
- 상대가 초크를 막기 위해 손으로 방어할 때는 트라이셉스 컨트롤로 손을 제거한 후 다시 초크를 시도한다.
브라보 초크를 통한 다양한 전환 옵션
브라보 초크는 단순히 초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백테이크, 다스 초크(D’arce Choke), 암바 등으로 전환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. 홀란도는 초크가 완성되지 않을 경우, 상대의 반응에 따라 백테이크로 전환하거나 다리 위치를 조정해 암바로 연결할 것을 권장한다.
마지막 조언 – 기본기와 디테일의 중요성
홀란도 샘슨은 브라보 초크를 세팅할 때 무엇보다 기본기에 충실하고 디테일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. 초크의 각도, 상대의 움직임에 대한 반응, 손목과 손가락의 위치까지 세밀하게 조정해야 완벽한 피니시를 만들어낼 수 있다.
브라보 초크는 단순해 보이지만 숙련된 기술자만이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급 기술이다. 이를 익히고 싶다면 기본기를 반복 연습하며 세부적인 디테일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자.
“연습이 곧 완성이다.” 브라보 초크를 통해 당신의 주짓수 게임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해보자.